Education

세미나

보석 및 주얼리 관련 세미나와 행사들을 안내합니다.

“선택아닌 필수... AI 활용능력 갖춘 사람에게 자리

본문

“선택아닌 필수... AI 활용능력 갖춘 사람에게 자리


‘종로주얼리포럼x주얼리에피파니 2025’ 성황리에 마쳐

 

1에피2.jpg

 


종로구와 (재)월곡주얼리산업진흥재단(이하 월곡재단)이 공동 주최·주관하고, 서울시립대가 후원한 ‘종로주얼리포럼×주얼리에피파니 2025’가 지난 7월 4일(금) 서울역사박물관 1층 야주개홀에서 성공적으로 막을 내렸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한 이번 포럼은 종로를 대표하는 지역 산업인 주얼리 산업 정책 포럼인 만큼 개최 전부터 많은 주목을 받았다. 

 

특히, 국내 주얼리 산업을 대표하는 민·관·산·학·연 관계자들이 모여, 국내 주얼리 산업의 새로운 발전 방향과 AI 혁신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로 남다른 의미를 가졌다. 

 

1그림 5.jpg

 

 

이병철 종로구 부구청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이번 포럼은 1부 주제발표와 2부 이슈토크쇼로 구성돼 총 3시간 가량 진행됐다. 이 부구청장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이어온 K-주얼리 산업의 중심지 종로에서 이번 포럼이 산업의 새로운 혁신과 도약을 이끌어내는 뜻깊은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1부 첫 번째 발표에서는 이상용 김앤장 AI센터 수석이 ‘AI의 현재와 미래, 우리는 무엇을 활용할 것인가?’를 주제로 AI 기술 동향을 짚고, 변화 속에서 개인과 조직이 갖춰야 할 마인드셋을 제시했다. 

 

이 수석은 “앞으로는 AI를 잘 활용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의 자리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기술 도입과 습득 속도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구글의 ‘마리너’ 프로젝트를 예로 들며, 검색·쇼핑·음성·영상·개발 업무까지 아우르는 AI의 통합적 확산이 산업 전반의 업무 방식 자체를 변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이제는 특정 기술자가 아닌 현업 전문가가 주도적으로 AI를 활용해야 할 시대”라며, “생활과 업무 속에서 AI로 전환할 수 있는 영역을 스스로 찾아 실험 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 박세헌 책임연구원은 ‘K주얼리의 변화와 도전 - AI Coupling’을 주제로 내수 한계와 소비 정체로 구조적 위기에 직면한 국내 주얼리 산업의 현실을 진단하고, 침체된 산업 환경을 돌파하기 위한 AI 기반 전환 전략을 제시했다. 

 

박 연구원은 “창의성과 기획 등 인간의 고유 영역까지 AI가 대체하고 보완하는 시대가 도래했다”며, 주얼리 디자인 프로세스에 AI를 접목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AI 커플링’ 개념을 소개했다. 

 

특히, “디자인 프롬프트 작성 시, 세공 기법, 보석 종류, 세팅 방식(예: 프롱, 베젤), 스타일 요소(로코코, 미니멀 등) 등 구체적이고 정교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높은 완성도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챗GPT, 미드저니, 젠스파크, 코파일럿 등 다양한 AI 툴의 장단점을 분석하며, 디자인 단계별 목적에 따라 유기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해당 연구는 월곡연구소와 동덕여자대학교 강민정 교수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수행됐으며, 주얼리 분야에 특화된 AI 디자인 적용의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로 주목받았다.

 

1에피1.jpg

▲2부 순서로 열린 이슈토크쇼 참석자들. 왼쪽부터 KBS 정용실 아나운서, 서울시립대학교 송오성 교수,  한국귀금속보석디자인협회 우하나 회장,  골든듀 이필성 대표, 월곡연구소 차지연 책임연구원, 그루핑미디어 이수영 대표

 

2부 이슈토크쇼 ‘시대를 초월하는 주얼리 그루터기’는 KBS 정용실 아나운서의 사회로 60분간 진행됐다. 

서울시립대학교 송오성 교수, 한국귀금속보석디자인협회 우하나 회장, 그루핑미디어 이수영 대표, 골든듀 이필성 대표, 월곡연구소 차지연 책임연구원이 패널로 참석해 생성형 AI의 급속한 발전이 디자인, 비즈니스, 마케팅, 교육 등 주얼리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논의를 펼쳤다.

 

사전예약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은 정원(230명)을 훌쩍 넘는 약 260명이 참석해 주얼리 산업의 변화와 혁신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반영했다. 행사에서 다룬 발표자료는 월곡연구소  웹사이트(https://w-jewel.or.kr/wjrc)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문의 : 02-747-1858


TOP